UPDATED. 2024-03-28 19:20 (목)
구강에도 암이 생길 수 있다?
구강에도 암이 생길 수 있다?
  • 김윤아 기자
  • 승인 2022.06.01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강암은 전체 암의 3~5%를 차지한다. 남성에게 호발하는 암 중에서는 위암, 폐암, 간암, 대장암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이 발생하며, 여성에게서는 여덟 번째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약 2,000명의 구강암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투병 중인 환자도 수만 명에 이른다. 초기 진단이 어려워 생존율이 낮은 편이며 초기에 치료하지 못하면 수술 후에도 만성통증, 기능장애, 구강 기능 이상이 나타난다.

최병준 교수가 구강암의 진단과 치료, 예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최병준 교수가 구강암의 진단과 치료, 예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경희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최병준 교수는 “구강암 발생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으나 위험요인으로 흡연, 음주, 바이러스, 방사선이나 자외선 조사, 식습관과 영양결핍, 유전적 감수성 등이 거론되고 있다”며 “2주일 이상 지속되는 입 주변 통증, 입이나 목 주변이 붓거나 혹이 생겼을 때, 입이나 입술에 생긴 붉거나 흰 반점, 입이나 목구멍의 반복적인 출혈, 이가 갑자기 흔들리거나 이를 뽑은 후 상처가 아물지 않는 증상 등이 있는 경우 구강암을 의심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구강암의 치료는 수술적 절제 및 재건술, 방사선치료, 항암제 투여가 있으며, 이러한 치료를 함께하는 병합 치료를 시행한다. 병기에 따라 초기에는 국소적으로 절제하지만 상당히 진전된 경우에는 수술 부담은 줄이면서 치료율을 높이기 위해 수술 전후에 치료방사선과와 연계하여 방사선치료를 시도하거나 혈액종양내과와 연계하여 화학요법을 시도하고 있다. 구강암을 수술하는 과정은 종양 조직의 절제와 이로 인해 생긴 결함을 재건하는 것이다.

최 교수는 “보통 구강암의 경계부에서 정상 조직을 포함해 조직을 절제한 후, 초래되는 기능장애와 안면부 추형 등 심미적 손상은 다른 부위의 뼈와 살을 이식해 재건·복원해주는 악안면 재건술을 시행한다”며 “구강암은 대개 초기에 발견하기 어려우므로 암으로 확인됐을 때는 시기가 늦은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구강암 치료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기 발견을 위한 치과 정기 검진”이라고 강조했다. 

구강암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과 후유증에는 혀, 악골 등의 구강 기능의 결손, 안모 추형(절제술 후 남는 얼굴의 변형),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 후의 합병증, 탈모, 연하장애, 식욕부진, 전신 쇠약, 충치 및 풍치, 턱골수염(방사선골괴사), 구강 건조증, 심한 구강점막염(심한 혓바늘 같은 것), 방사선 골괴사로 인한 아래턱 뼈의 노출 등이 있다.

구강암은 목 부위의 임파선으로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에 구강 내의 암 조직뿐만 아니라 목 부위의 임파조직도 모두 절제해야 하므로 수술 후에는 얼굴과 입안 조직의 결손으로 인해 심한 기능장애와 심미적 손상, 이에 따른 심리적, 정신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최 교수는 “구강암 예방을 위해서는 구강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6개월에 한 번 스케일링과 정기 검진을 하면서 금연하고 과음을 삼가는 것이 좋다”며 “입안에 생긴 궤양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백반증, 홍반증이 있는 경우 즉시 구강암 검사를 받도록 하며 맵고 짜고 뜨겁고 탄 음식은 피하도록 하며 날카로운 치아, 잘 맞지 않는 틀니 등이 구강 점막을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